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광주-해남
- 육아일기
- c언어
- swap
- 슈퍼탱크대작전
- 전산직
- 오늘의토픽
- 티스토리챌린지
- 일상
- 잡담만설
- 추가채용
- NICU
- 천주교
- 반복문
- 컴퓨터일반
- 말씀새기기
- 일기처럼 보이는 뻘글
- 설계도
- 정보보호론
- Lover
- 버스시간표
- 해남종합버스터미널
- 슈퍼탱크럼블
- 일기처럼 보이는 잡글
- 해남버스터미널
- 리안이
- 끄적끄적
- 오블완
- 정보
- 가톨릭
- Today
- Total
목록9급 공무원/국어 문법영역 (12)
리안이와 함께하는 세상
: 다른 말을 꾸며주는 말. > 관형사, 부사 - 관형사 :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을 꾸민다. - 부사 : 용언(형용사, 동사), 부사, 관형사,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 등등... 다양하게 꾸민다.1. 다른 말을 꾸며준다. 2. 활용을 하지 않는다. - 새 옷을 입고 왔다. > 관형사 새로운 옷을 입고 왔다. > 형용사(새롭다) - 조용히 앉아 있어라. > 부사 조용하게 앉아 있어라. > 동사(조용하다) 3. 조사가 결합할 수 없다. - 여러 사람들이 주위를 둘러 쌌다. (관형사) 여럿이 주위를 둘러 쌌다. (명사) - 훌륭한 문화재를 길이 보존하자. (부사) 이 탑의 길이를 재 보아라. (명사) * 관형사의 분류1. 성상 관형사 : 체언의 성질이나 상태를 제한 (새 옷)2. 지시 관형사 : 가리..
· 밥을 먹으려고 밥통을 열었다. > 먹다 > 먹으니 > 변화가 없다!· 엄마를 도우려고 식탁을 치웠다. > 돕다 > 돕으려고(?) > ㅂ 탈락! * 용언의 규칙 활용 : 어간과 어미가 결합하는 과정에서 어간, 어미 모두 형태변화가 없는 활용 ex) 'ㄹ' 규칙 : 어간이 'ㄹ'로 끝나는 경우 -느냐, -니 가 올 때, 무조건 'ㄹ' 탈락 * 용언의 불규칙 활용 : 보편적 음운 규칙으로 설명할 수 없는 형태 변화를 하는 활용1. 어간이 변하는 경우 ex) 곱다 > 곱+으니, 곱+아서 > 고우니, 고와서 - 'ㅅ' 불규칙 : 어간에서 'ㅅ'이 탈락 (짓다, 잇다) - 'ㄷ' 불규칙 : 어간 끝 'ㄷ'이 'ㄹ'로 바뀜 ( 묻다, 붇다) - 'ㅂ' 불규칙 : - '르' 불규칙 : 어간의 '르'가 'ㄹㄹ'로 바..
: 움직임이나 작용, 성질이나 삼태를 나타내는 단어. > 주로 문장의 서술어로 사용된다. > 활용을 한다. (어간+어미 로 구성)* 본용언 : 문장 안에서 자립적으로 서술어의 기능을 함.* 보조용언 : 문장에 홀로 쓰이지 못하고 다른 용언 뒤에 붙어서 의미를 더해주는 기능을 함.(보조동사, 보조 형용사) ex) 날이 저물어 간다. > 저물다, 간다. > 중요한 부분은 저물다. > 간다 는 움직임의 의미가 아니라 진행의 의미로 본 뜻이 아니기 때문에 보조용언이다. 철수는 하루 종일 의자에 앉아 있었다. > 앉다. 있었다. > 앉다. > 있었다. > 상태의 지속을 나타내는 의미. 보조용언※ 본용언 + 보조용언의 구성은, 두 용언 사이에 다른 요소를 끼워넣을 수 없다. (본용언 + 본용언은 가능)ex) 편지를..
* 대명사 : 사물이나 사람의 이름을 대신하는 말. > 관형사의 수식을 받을 수 없다.( ex. *새 너, *헌 너), 관형어의 수식은 가능* 종류 : 인칭 대명사(나,너,그..), 지시대명사(이,그,저), 미지칭, 부정칭 > 미지칭 : 한정된 범위 안에서 특정되지 않은 사람이나 물건 > 부정칭 : 정해지지 않은 범위의 사람이나 물건. ex) 누구 기다리세요? (누구를 기다리십니까? > 영희를 기다립니다. / 그냥 쉬는거에요.) * 관형사와 대명사의 구별 1. 조사와 결합 : 대명사 2. 이,그,저 > 이것,저것,그것 으로 바꾸어 쓸 수 있다. : 대명사ex1)이는 저도 잘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 조사가 있다. > 대명사 이 사람이 바로 주인공입니다. > 체언을 꾸미고 있다 > 관형사 ex2)이 이상..
* 단어 : 내부에 휴지를 둘 수 없고, 다른 단어를 끼워 넣을 수도 없는 단위 / 최소의 자립형식 / 단일한 의미를 가진 음의 결합체 > 단일어, 복합어* 단일어(單一語, simple word) : 하나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어* 복합어(複合語, complex word) : 둘 이상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어 / 한 개의 실질형태소에 접사가 붙은 말, 두 개 이상의 실질형태소로 이루어진 말. > 합성어, 파생어* 합성어(合成語) : 어근과 어근이 결합하여 하나의 단어가 된 것.※ 어근은 접사와 대비하여 사용하며 단어의 합성과정에서 사용하는 말이고, 어간은 어미와 대비하여 사용하며 용언의 활용에서 사용한다.> 대등 합성어 : A+B일 때, A이고 B이다가 성립 (ex 손발) > 종속 합성어 : A+B일 때..
음운의 변화: 교체, 첨가, 축약, 탈락. ※ 자음분류표(대교학습백과) - 위 표가 머리 속에 있으면 음운 변동현상을 이해하기가 10배 쉽다. 1. 교체(대치) : 음절 끝소리규칙, 자음동화(비음화, 유음화), 된소리되기(경음화), 모음동화, 구개음화, 두음법칙1-1 음절 끝소리 규칙 : 음절의 끝에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 의 일곱가지만 올 수 있다. > 이외의 음운이 음절의 끝에 올 경우, 예사소리 및 대표 음운으로 대치됨.( ㅃㅍ > ㅂ / ㄸㅌㅅㅆ > ㄷ / ㅉㅊ > ㅈ / ㄲㅋ>ㄱ) > 자음으로 시작하거나, 한단어 안에서, 또는 실질 의미를 갖는 어미가 오는 경우 음절 끝소리 규칙이 적용됨. > 조사의 경우 적용 안된다. (옷이 -> [오시]) 1-2 비음화 : 파열음(ㄱ,ㄷ,ㅂ)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