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c언어
- 오늘의토픽
- 말씀새기기
- 정보
- 천주교
- 버스시간표
- 가톨릭
- 전산직
- 정보보호론
- 반복문
- 오블완
- 설계도
- 육아일기
- 해남종합버스터미널
- 해남버스터미널
- swap
- 슈퍼탱크럼블
- 끄적끄적
- Lover
- 슈퍼탱크대작전
- 티스토리챌린지
- 컴퓨터일반
- 리안이
- 일기처럼 보이는 뻘글
- 일기처럼 보이는 잡글
- NICU
- 추가채용
- 잡담만설
- 일상
- 광주-해남
- Today
- Total
목록9급 공무원/국어 문법영역 (12)
리안이와 함께하는 세상
: 하나의 절이 다른 문장 속에 들어가서 하나의 문장 성분 역할을 하고 있을 때 이 전체의 문장을 안은 문장 이라고 함. > 다른 문장 안으로 들어간 문장을 '안긴 절' 이라고 한다. (안긴 문장은 잘못된 표현 - 절이지, 문장이 아니다.) ex) 나는 친구가 사준 쌀로 밥을 지어 먹었다. - 안은 문장 - 안긴 절 > 친구가 사준 (친구가 사주다) - 명사절, 관형사절, 부사절, 서술절, 인용절을 안은 문장 1. 명사절을 안은 문장 : 절이 명사화 되어 문장 성분의 일부로 쓰이게 되면 그 절을 명사절이라고 부름. > 명사형 어미 '-(으)ㅁ', '-기'가 결합되어 이루어짐ex) 사실이 밝혀졌다. 명사 홍길동이 범인임이 밝혀졌다. 명사절> -느냐, -는지, -(으)ㄹ지'와 같은 의문형 종결어미가 결합되어..
* 문장의 구조 - 홑문장 : 주어, 서술어가 한 번만 나온다.(한 개의 절) ex) 이것은 홑문장이다. - 겹문장 : 주어, 서술어가 두 번 이상 나온다.(두 개 이상의 절) ex) 저것은 홑문장이고, 이것은 겹문장이다.> 이어진 문장 > 안은 문장* 이어진 문장 : 두 개의 절이 나란히 결합하여 하나로 이어진 문장 > 대등하게 이어진 문장,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1. 대등하게 이어진 문장 : 대등적 연결어미(-고,-며,-나 등)에 의해 이어진 문장 ㄱ. 하늘은 푸르고, 물은 맑다. > '물은 맑고, 하늘은 푸르다' 로 앞뒷말을 바꾸어도 의미가 그대로 유지된다.ㄴ. 바람은 차지만, 햇살은 따스하다. > 햇살은 따스하지만, 바람은 차다. 2.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 : 종속적 연결어미(-면,-니 등)에 ..
* 관형어 : 체언을 꾸며 주는 문장성분ex) 저기 가는 철수를 보아라. 서술어 : 보아라 목적어 : 저기 가는 철수를 관형어 : 저기 가는 (철수를 꾸밈) ※ 관형어는 주어, 목적어, 보어의 일부이다.1. 기본적으로 관형사는 그대로 관형어가 된다.ex) 헌 옷은 따로 모아 재활용 수거함에 넣어라그 사람이 바로 내 첫사랑이다.2. '명사(명사구, 명사절) [+ 관형격조사]' 가 관형어가 될 수 있다.ex) 나는 오늘 엄마의 옷을 차곡차곡 정리했다. 너 오늘 엄마 옷을 입고 나왔지?3. 용언이 관형어가 될 수 있다. > 용언의 어간에 관형사형 어미 '-(으)ㄴ, -는-, -(으)ㄹ' 등을 결합하여 나타낸다.ex) 달리던 차가 갑자기 서면 어떻게 되는지 알아? 고운 얼굴에 상처가 났다. * 관형어가 꼭 필요..
* 서술어 : 문장에서 주어의 행위나 상태, 속성을 설명하는 역할을 하는 문장성분 > 어찌하다, 어떠하다, 무엇이다.ex) 컴퓨터가 망가졌다. (어찌하다) 컴퓨터가 멋지다.( 어떠하다) 컴퓨터가 상품이다. (무엇이다. ※ 서술어의 종류 : 용언 / 체언 + 서술격 조사 / 용언 + 용언1. 동사나 형용사의 어간에 어미가 결합하여 이루어짐ex) 컴퓨터가 망가졌다. 컴퓨터가 멋지다.2. 체언에 '이다'가 결합하여 이루어진다.ex) 컴퓨터가 상품이다. * 서술어의 자릿수 : 서술어가 반드시 갖추어야 하는 문장 성분의 수를 의미ex) 한 자리 서술어 : 꽃이 피었다. (주어) 두 자리 서술어 : 고양이가 쥐를 잡았다 (주어 + 목적어) 세 자리 서술어 : 동생은 나에게 책을 주었다. (주어 + 부사어+ 목적어,..
* 주어 : 한 문장에서 동작이나 상태, 어떤 성질의 주체를 나타내는 문장 성분 > 서술어의 주체를 찾으면 쉽다. ex)무엇이 (어찌하다, 어떠하다, 무엇이다.)1. 주격 조사가 결합하여 주어 역할을 함. > 이/가/께서 > 사람의 수를 나타내는 말 뒤의 -서 > 단체나 기관뒤의 -에서 2. 보조사가 결합하여 주어 역할을 함. > 은/는, 이/가3. 주격 조사와 보조사가 함께 나타날 수도 있음. ex) 할아버지께서도 (주격조사+보조사) 4. 주격 조사나 보조사 없이도 주어 성립이 가능함 ex) 철수 아버지 작년에 외국 나가셨잖아. * 목적어 : 서술어의 동작이나 행동의 대상이 ㅗ디는 문장성분. > 체언, 체언 구실을 하는 구나 절 +목적격조사 '을/를' > 무엇을 / 서술어의 대상 1. 체언에 목적격 조..
* 품사는 단어의 부류 (명사,대명사,수사,관형사,부사,감탄사,조사,동사,형용사) > 품사는 본질 !* 문장 성분은 문장 내에서의 기능 (주어,서술어,목적어,보어,관형어,부사어,독립어) > 문장 성분은 위치에 따른 기능의 차이!ex) 높다명사, 조사, 형용사,주어, 서술어ex2) 보아라명사 조사, 동사목적어, 서술어 * 부사와 부사어 - 부사는 대개 부사어로 기능한다. 부사가 아닌 다른 품사가 부사어가 되기도 한다. > 부사 : 나는 당신이 참 좋다. > 명사 + 부사격 조사 : 학교 끝나고 집으로 오세요. > 용언의 부사형 : 꽃이 예쁘게 피었다. * 관형사와 관형어 - 관형사는 관형어로만 기능, 관형사 이외의 품사나 구성이 관형어가 되기도 한다. > 관형사 : 새 학기가 되었다. > 명사 + 관형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