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육아일기
- 슈퍼탱크대작전
- 일상
- c언어
- 설계도
- 슈퍼탱크럼블
- 버스시간표
- Lover
- 전산직
- 끄적끄적
- 잡담만설
- 해남종합버스터미널
- 컴퓨터일반
- 일기처럼 보이는 잡글
- 천주교
- 가톨릭
- 해남버스터미널
- 정보
- 티스토리챌린지
- 오블완
- 오늘의토픽
- 반복문
- 리안이
- NICU
- 일기처럼 보이는 뻘글
- swap
- 광주-해남
- 정보보호론
- 추가채용
- 말씀새기기
- Today
- Total
리안이와 함께하는 세상
[국어문법] 단어, 합성어의 분류 : 통사적 합성어, 비통사적 합성어 본문
* 단어 : 내부에 휴지를 둘 수 없고, 다른 단어를 끼워 넣을 수도 없는 단위 / 최소의 자립형식 / 단일한 의미를 가진 음의 결합체
> 단일어, 복합어
* 단일어(單一語, simple word) : 하나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어
* 복합어(複合語, complex word) : 둘 이상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어 / 한 개의 실질형태소에 접사가 붙은 말, 두 개 이상의 실질형태소로 이루어진 말.
> 합성어, 파생어
* 합성어(合成語) : 어근과 어근이 결합하여 하나의 단어가 된 것.
어간은 어미와 대비하여 사용하며 용언의 활용에서 사용한다.
> 대등 합성어 : A+B일 때, A이고 B이다가 성립 (ex 손발)
> 종속 합성어 : A+B일 때, B의 A가 성립 (ex 손가락)
> 융합 합성어 : A+B일 때, C (ex 쥐꼬리)
> 합성어와 구의 구별 : 사이에 연결 어미를 넣어서 말이 되면 구, 안되면 합성어(사이에 휴지도 둘 수 없고, 다른 단어도 끼워넣을 수 없기 때문)
> 통사적 합성어 : 국어의 문장 구성 방식에 맞게 만들어진 합성어
1. 꾸며주는 말이 꾸밈을 받는 말 앞에 온다.
2. 어간이 어미와 결합한다.
3. 명사와 명사가 나란히 쓰일 수 있다.
ex) 밤낮 (3)
작은아버지 (1)
잡아먹다 (2)
> 비통사적 합성어 : 국어의 문장구성방식에 어긋나는 방식으로 만들어진 합성어 (있어야할 것이 없다.)
1. 용언의 어미나 관형사형 전성어미가 생략되어있다.
2. 명사와 부사가 나란히 쓰인다. (불규칙 어근 + 명사)
ex) 접칼 (1) - 접(다) + 칼의 합성어인데 생략된 '다'를 대신하는 연결어미가 없다.
* 용언어간 + 명사 인 경우 용언의 어미나 관형사형 전성어미가 생략 됨
부슬비 (2) - 불규칙어근 + 명사 (부슬 : 부슬거리다의 어근), 연결어미도 없다.
굳세다 (1) - 굳(다) + 세다 / 생략된 '다'를 대신하는 연결어미가 없다.
EX) 젊은이 > 젊(다) + 이 > 생략된 '다'를 대신하는 연결어미 '은'이 포함되어 국어의 문장구성방식과 같다. > 통사적 합성어
덮밥 > 덮(다) + 밥 > 생략된 '다'를 대신하는 연결어미가 없다. > 비통사적 합성어
높푸르다 > 높(다) + 푸르다 > 위와 같은 이유로 > 비통사적 합성어
'9급 공무원 > 국어 문법영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식언(관형사와 부사) (1) | 2017.03.20 |
---|---|
용언의 활용 (0) | 2017.03.20 |
[국어문법] 용언 (1) | 2017.03.20 |
[국어문법] 대명사와 수사 (0) | 2017.03.20 |
[국어문법] 음운의 변화 및 변동 (5) | 2017.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