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정보
- 해남버스터미널
- 티스토리챌린지
- swap
- Lover
- 일상
- 일기처럼 보이는 잡글
- 일기처럼 보이는 뻘글
- 리안이
- 잡담만설
- 오늘의토픽
- 슈퍼탱크대작전
- 끄적끄적
- 전산직
- 추가채용
- 광주-해남
- c언어
- 해남종합버스터미널
- 육아일기
- 가톨릭
- 말씀새기기
- 천주교
- NICU
- 정보보호론
- 오블완
- 버스시간표
- 설계도
- 컴퓨터일반
- 슈퍼탱크럼블
- 반복문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67)
리안이와 함께하는 세상
> 큰 버퍼들을 반복적으로 반으로 나우어 작은 버퍼들을 만들며, 가능할 때마다 인접한 자유로운 버퍼들을 합치는 과정을 반복 버디 : 버퍼가 나누어 질 때 각각의 공간을 가리킴> 단편화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ex) 버디 시스템을 사용하는 1MB 메모리에 150KB프로그램 코드 할당1 MB = 1024 KB 전체 메모리 세그먼트 512 KB 512 KB 1번 분할된 버디 256 KB 256 KB 256 KB 256 KB 2번 분할된 버디 128 KB 128 KB 128 KB 128 KB 128 KB 128 KB 128 KB 128 KB 3번 분할된 버디 ※ 2 번의 분할 후 150KB 프로그램 코드 할당 (1024 > 512 > 256) (128 공간에는 150을 할당할 수 없음. ) > 128KB 프로그램..
· 두 프로세스(또는 스레드)가 하나의 자원을 혼란 없이 공유할 수 있게 함 · 2개의 프로세스를 위한 상호배제 문제를 해결한 최초의 소프트웨어 방법으로, 상호배제, 제한대기, 진행 조건을 모두 만족함 · 교착상태가 발생하지 않음을 보장함· 별도의 특수 명령어 없이 순수하게 소프트웨어로 해결· 공유 데이터에 대한 처리에 있어서 상호배제를 보장 자세한건 모름...
A는 B의 자원을B는 A의 자원을 요구하며서로 안내놓고 있음서로 머리끄댕이 잡고 너 먼저 놔라 하고 있는 상황 # 발생 조건 : 이하 네 가지 상황이 동시 발생하면 교착상태임(하나라도 만족하지 않으면 발생하지 않음) * 상호배제(Mutual exclusion) : 점유된 자원은 다른 프로세스가 사용할 수 없다. * 점유와 대기(Hold & wait) : 하나 이상의 자원을 점유한 채로, 다른 프로세스가 점유한 자원을 요청하며 대기한다 * 비선점(Non preemption) : 프로세스가 점유한 자원을 강탈할 수 없다. * 순환대기(환형대기, Circular wait) : 프로세스간에 닫힌 체인이 존재하여 각 프로세스는 체인 내의 다른 프로세스에 의해 소유되어 있는 자원을 요청하며 대기하고 있다. # 해결..
CPU및 자원을프로세스에게적절하게 할당하는작업 # 스케줄링 종류 > 장기 스케줄링 : 어느 작업을 개시할 것인가? (수행시간이 가장 길다) > 중기 스케줄링 : 형성된 프로세스들 또는 프로세스 그룹에서 어느 것을 활성화 시키고 보류할 것인가? > 단기 스케줄링 : 대기 리스트에 있는 프로세스 중 어떤 것에 프로세서를 할당할 것인가? # 스케줄링 방법 > 비선점형 스케줄링 : 프로세스가 cpu를 할당 받으면, 작업이 끝나야 돌려줌 * FCFS(First Come First service) > 먼저 왔으니까 먼저 써 : 프로세스가 도착한 순서대로 cpu할당 * SJF(Shortest Job First) > 자, 다음은 누가 제일 빨리 끝낼 수 있지? : cpu를 사용하는 시간(실행시간)이 가장 짧은 프로세스..
가상기계(Virtual Machine) > 컴퓨팅 환경을 소프트웨어로 구현한 것· 동일한 하드웨어를 공유하는 다수의 실행환경· 한 컴퓨터의 하드웨어가 다수의 다른 실행 환경을 제공하도록 추상화 하는 것· 가상기계도 커널 모드와 사용자모드를 가지며, 가상 기계 자체는 커널모드에서 수행된다.· 다수의 기계가 CPU를 공유하므로, 느려질 수 있다.· 각 기계는 완전히 격리되므로 시스템 자원이 완전히 보호된다· 각 기계의 자원을 직접 공유할 수 없으나, 가상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할 수 있다.
*생성(new) 작업이 제출되어 스풀 공간에 수록 · > 준비 상태 *준비(ready) · CPU 할당이 가능한 상태 · Dispatch(->실행상태) *실행(running) · cpu가 할당된 상태 · Timer runout(->준비상태) (타이머 인터럽트!?) · Block(->대기상태) · (-> 종료상태) *대기(waiting) · I/O같은 사건으로 cpu를 양도하고 io완료시까지 대기 큐에서 대기하는 상태 · Wake up(->준비상태) *종료(terminated)cpu를 할당받아 주어진 시간 내에 수행을 종료한 상태 이미지 출처(구글링) : http://cfile1.uf.tistory.com/image/111C2F3F511554B124B9B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