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Lover
- 설계도
- 천주교
- 해남버스터미널
- 티스토리챌린지
- 전산직
- 육아일기
- swap
- NICU
- 컴퓨터일반
- 정보보호론
- 오블완
- 가톨릭
- 오늘의토픽
- 정보
- 끄적끄적
- 버스시간표
- 리안이
- 해남종합버스터미널
- 일기처럼 보이는 뻘글
- 말씀새기기
- 잡담만설
- 슈퍼탱크대작전
- 일기처럼 보이는 잡글
- 광주-해남
- 반복문
- 슈퍼탱크럼블
- 일상
- c언어
- 추가채용
- Today
- Total
목록STUDY ! (25)
리안이와 함께하는 세상
콘솔용 숫자 야구게임입니다. 소스파일과 함께 들어있습니다. 지난 학기에 기숙사에서 혼자 놀기가 심심해서 만들었던게임... ㅋㅋ CUI 입니다. 7z으로 압축했으며, 압축을 풀어 사용하실 때에는 7z을 이용하시거나, 압축시대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인터넷을 하다가 어떤 질문을 보고 생각나서 끄적대 본다. C언어에 있는 함수 getc와 gets를 아는가? 몰라? 그럼 getchar와 gets는? 그럼 putchar와 puts는? 간단히 말하자면 get은 입력, put은 출력함수이고 char는 문자, s는 문장을 뜻한다. char와 s가 분리 되어있음에 주목하자. 문자는 작은 따옴표(' ')로 감싸고, 문장은 큰 따옴표(" ")로 감싸야 한다. 즉, 'abc'라고 입력하면 안된다는 것이다. 물론 "a"라고 입력하는 것은 가능하다. 이 경우 a를 문자가 아닌 문장으로 인식한다는 점에 유의하자 getchar('a')와 getchar("a")는 명백히 다르다. 잘 모르겠으면 직접 코딩해 보자 해보고 오류 찾아서 느껴보는게 학습하는데 가장 좋은 길이니까. 하..
Matlab을 실행시켰는데 자동으로 꺼진다면...? CPU가 AMD일 경우에!!!만 적용됩니다 1. c:/Matlab7/bin/win32/blas.spec 파일을 메모장이나 워드패드로 연다. 2. 가장 아랫 줄에 다음의 2 문장을 추가한다. AuthenticAMD Family 15 Model 12 atlas_Athlon.dll # Athlon 64 (Newcastle) AuthenticAMD Family 15 Model * atlas_Athlon.dll # AMD64 3. 저장한다.
분기라는 것은 갈라진다는 뜻이다. ㅁㅁ분기점 이란 말을 자주 들어보았을 것이다. 분기문은 도로에서 차가 갈라져 나가듯이, 프로그램의 흐름을 바꾸어 주는 구문이다. 분기문에는 if문, switch문, goto문 등이 있다. if문에 대해서 알아보자 if문은 사용하기에 따라서 if, if else, if else if else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else라는 것은 다른것, 나머지 라는 뜻이 므로, if문이 거짓일 경우에 를 실행하고, else if문은 또 if의 경우가 아니지만, if를 제외한 나머지 경우도 아닐 경우에 사용된다. 즉, 가위바위보를 하는데 if가 가위가 되었다. 그런데 나는 주먹의 경우를 말하고 싶을때, if를 제외한 경우가 주먹과 보 두가지의 경우가 있기 떄문에, 여기에 else if..
for문은 일정한 틀을 가지고 있는 반복문이다. [ 구 조 ] for ( /*1. 초기조건 */ ; /*2. 반복조건 */ ; /*3. 조건제어*/ ) { /* 4. statement... */ } _ 구조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초기조건, 반복조건, 조건제어설정이 모두 초기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while문에 비해서 무한루프에 대한 걱정이 적은 편이다. 각 조건들을 세미콜론(;)으로 구분하고 있음에 주의해야 한다. 이 구문의 동작순서는 1 - 2 - 4 - 3 - 2 - 4 - 3 ...이다. 뒤의 2 - 4 - 3 이 계속 반복되다가, 반복조건이 거짓(FALSE)이 되면, 반복을 끝나고 for문에서 탈출한다. 그냥 보면 어렵게 느껴지니 예를 살펴보자 Ex_1) { 1 int i; // 반복문을 접하다보..
do-while문은 while문의 변형이라고 할 수 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while문은 조건을 검사한 후 반복문을 실행하는 반면, do-while문은 반복문을 실행한 후에 조건을 검사한다. 구조부터 살펴보자 [ 구 조 ] do { /* statement... */ } while( /* 반복 조건 */ ); do가 눈에 띄인다. do는 '하다' 라는 뜻이다. 즉 statement를 실행한 후에, while문으로 접근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반복문을 실행한 후에 반복 조건을 검사하고, 반복 조건이 참일 경우에는 반복하고, 거짓일 경우에는 반복문을 빠져 나온다. 따라서 do-while문은 적어도 한번은 반복문이 실행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외에는 while문과 같기 때문에 나머지는 while문을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