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슈퍼탱크럼블
- 슈퍼탱크대작전
- 추가채용
- 일상
- 육아일기
- NICU
- 가톨릭
- 해남종합버스터미널
- 컴퓨터일반
- 버스시간표
- 설계도
- 해남버스터미널
- 전산직
- 끄적끄적
- 티스토리챌린지
- Lover
- 정보보호론
- 오블완
- 천주교
- 반복문
- 리안이
- 잡담만설
- 말씀새기기
- 일기처럼 보이는 잡글
- 일기처럼 보이는 뻘글
- c언어
- 오늘의토픽
- swap
- 정보
- 광주-해남
- Today
- Total
목록9급 공무원/컴퓨터 일반 (69)
리안이와 함께하는 세상
* 장애 유형 - 트랙잭션 장애, 시스템 장애, 미디어 장애, 행동 장애1. 트랜잭션 장애 : 트랜잭션 내의 오류 or 내부조건(입력 데이터의 불량, 데이터의 불명, 시스템 자원의 과다 사용 요구 등)2. 시스템 장애 : 하드웨어 오동작으로, 메인 메모리 에 있는 정보 손실 or 교착 (메모리)3. 미디어 장애 : 디스크 헤드 붕괴 or 저장장치의 데이터 베이스 손상 (저장장치)4. 행동 장애 : 데이터 발견 못하거나 연산 실패 * 시스템 실패 발생시 회복 기법 > checkpoint 이전에 commit 된 트랜잭션 : 아무런 작업을 할 필요가 없다. (Durability 에 의해 데이터 베이스에 적용이 된 상태) > checkpoint 이후에 commit 된 트랜잭션 : redo 작업이 필요하다. (A..
* 트랜잭션이 가져야 할 ACID특성 A(Atomicity, 원자성) C(Consistency, 일관성) I(Isolation, 고립성) D(Durability, 지속성) 1. Atomicity, 원자성 트랜잭션은 두가지 상태이다. 완전히 수행되거나, 전혀 수행되지 않거나. 1 or 0, Success or Fail, All or Nothing > 완료되거나, 취소되거나 2. Consistency, 일관성 트랜잭션을 완전히 실행하면 데이터베이스를 하나의 일관된 상태에서 다른 일관된 상태로 바꿔야 한다. > 실행 결과 모순 발생하지 않는다! 3. Isolation, 고립성 하나의 트랜잭션의 실행은 동시에 실행 중인 다른 트랜잭션의 간섭을 받아서는 안된다. > 동시 실행되더라도, 순차 실행된 것과 같은 상태..
: 중복 최소화, 종속 최소화, 이상 발생 방지무결성 유지,안정성 최대화 1. 제 1 정규형 : 원자값 가진다.2. 제 2 정규형 : 완전함수종속이다. (=부분 함수 종속 제거)3. 제 3 정규형 : 이행적 함수 종속이 아니다.4. BCNF(보이스-코드 정규형) : 모든 결정자는 후보키 / 복합속성 허용!5. 제 4 정규형 : 함수종속이 아닌 다치종속 제거6. 제 5 정규형 : 후보키를 통하지 않은 조인종속 제거 * 함수적 종속성 : 애트리뷰트들 사이의 관계에 대한 제약조건. A가 B의 결정자이면 B는 A에 함수적으로 종속* 완전함수 종속 : 2개의 결정자를 모두 종속하는 경우* 부분함수 종속 : 둘 중 하나의 결정자에만 종속되는 경우* 이행적 함수 종속성 : A->B, B->C 인 경우 ** 완전, 부..
* 설계 단계 : (요구사항 분석) > 개념적 설계 > 논리적 설계 > 물리적 설계 ※ 이제 스키마와 독립성과 헷갈리기 시작할듯 스키마는 안, 밖, 개념이고, 독립성은 논, 물이다. 1. 개념적 설계 - 현실 -> 개념 (개념구조, 개념 세계라고도 함) - DBMS에 독립적인 개념적 설계,데이터 중심의 개념 스키마 모델링,처리 중심의 트랜잭션 모델링 - 개체-관계 다이어그램(모델) 이용! > E-R 모델(다이어그램)은 개념설계!!! 2. 논리적 설계 - 개념 -> 논리구조 - 목표한 DBMS에 맞는 스키마 설계,트랙잭션 인터페이스 설계 - 관계 (데이터) 모델, 네트워크 (데이터) 모델, 계층 (데이터) 모델, 객체지향형 (데이터) 모델 이용 데이터가 들어가면 논리구조!※ 논리적 데이터 모델의 표현 : ..
: 정의(Definition) 기능, 제어(Control) 기능, 조작(Manipulation) 기능 1. 정의기능(Definition Facility) - 응용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 사이의 인터페이스 제공 - 하나의 물리적 구조의 데이터베이스로 여러 사용자 관점을 만족시키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정의할 수 있는 기능 - 구조 정의, 저장 레코드 형태에서 키 지정 - DDL(Data Definition Language) 2. 제어기능(Control Facility) -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에 대해 항상 정확성과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기능 - 무결성 유지 / 보안, 권한 검사 / 병행 제어 - DCL(Data Control Language) 3. 조작 기능(Manipulation Facility) - ..
: 각 단계의 구조는 상위 단계에 독립적이다. > 하위 단계의 구조 변경이상위 단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 종류 : 논리적 데이터 독립성, 물리적 데이터 독립성 1. 논리적 데이터 독립성 - 외부스키마와 개념 스키마 간의 독립성!! - 논리적 구조가 변경되어도 응용프로그램에 영향을 주면 안된다! - 논리적으로 독립되어있다! ※ 스키마와 헷갈리면 안됨. 논리 스키마 따위는 없음 2. 물리적 데이터 독립성 - 개념 스키마와 내부 스키마 간의 독립성!! - 물리구조가 변경되어도 논리 구조는 바뀌지 않는다. > 물리적으로 독립되어있다! (자료를 디스켓에 저장하든 하드에 저장하든 CD에 저장하든 무슨 상관?) ※ 역시 스키마와 헷갈리면 안됨. 물리 스키마 따위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