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오블완
- 슈퍼탱크럼블
- 컴퓨터일반
- 일상
- NICU
- 말씀새기기
- 버스시간표
- 육아일기
- 해남종합버스터미널
- swap
- 광주-해남
- 슈퍼탱크대작전
- 정보보호론
- 일기처럼 보이는 뻘글
- 잡담만설
- 티스토리챌린지
- 정보
- 해남버스터미널
- 반복문
- 가톨릭
- 오늘의토픽
- 리안이
- 천주교
- Lover
- 끄적끄적
- c언어
- 전산직
- 설계도
- 일기처럼 보이는 잡글
- 추가채용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67)
리안이와 함께하는 세상
출력함수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printf() putchar() putche() putch() putc() puts() ... 등등 굉장히 많은 함수가 있다. 그중에서 화면 출력함수에 대해서 알아보자. putc() [ int putc(int c, FILE *stream) ] in stdio.h Put character, 그러니까 한 문자를 출력하는 함수이다. 이 함수는 출력에 있어서 가장 기초적인 함수라고 할 수 있다. 첫번째 인자 : 출력할 문자 두번째 인자 : 출력할 위치 두번째 인자에서 스트림(stream)의 개념이 나오는데, 이것은 본인도 아직 확실하게 모른다. 다만, 파일 포인터를 집어 넣으면 파일에 출력이 되고, stdout을 입력하면 화면에 출력된다는 것만 알고 있다. 나중에 알게되면 알려드..
선언문을 기초로 시작해보자 선언문의 모양을 기억하는가? 자료형 (변수or함수의 이름) 이었다. 자료형이 먼저 나왔으나, 변수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자. 변수(variable) 코딩을 할 때 사용되는 수많은 숫자들이나 문장 혹은 문자들을 임시로 저장할 때 사용되는 것이 바로 변수이다. 변수는 말 그대로 변하는 수이다. A였다가 어느 순간 B가 될 수도 있고 어느 순간에는 C라는 것이 될 수도 있다. 변수라고 이름을 붙이기는 했지만, 정확히 말하면 변수는 메모리 상의 한 지점이다. 왜 메모리상의 한 지점이 되었을까? 컴퓨터에서 임시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곳이 어딜까? 처리속도가 매우 빠르지만, 할 일도 많고 저장공간도 좁아터진 CPU일까? 저장공간은 넘치도록 많지만, 일 처리가 느려터진 보조기억장치(..
컴퓨터가 하는 말을 들은적이 있는가? 물론 그럴일은 없지만, 만약 컴퓨터가 입이 생겨서 말을 한다면 무슨말을 하는지 알아들을 수 없을 것이다. 컴퓨터가 알고 있는것은 10010101010101011 이런것들 밖에 없으니 말이다. 그럼 프로그래머는 컴퓨터와 어떻게 의사소통을 할까? 다행히도 프로그램 개발도구에는 언어번역기가 들어있다. 컴퓨터를 사용하는 우리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누군가 이미 만들어 준 것들이다. 물론 이 번역기는 우리가 원하는 것을 컴퓨터에 전달해 줄 뿐, 컴퓨터가 원하는 것을 우리에게 전달해 주지는 않는다. 컴퓨터 스스로 사고할 수 없기 때문이다. 번역을 위해서 사용하는 방법은 컴파일과 링크이다. (컴파일과 링크에 대해서는 인터넷을 찾아보기 바란다)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우리가 아무..
1 #include 2 3 int main() { 4 5 printf("Hello World"); 6 printf("\n"); 7 8 return 0; 9 } 10 C언어를 배울때 제일 처음접하게 되는 구문이다. 세상에 태어난 기념으로 "Hello World"를 외치는 프로그램. 처음부터 살펴보도록 하자. 1 # include 1번줄에 있는 include는 단어의 뜻 그대로 포함한다는 말이다. 무엇을 포함하는가? 바로 꺽쇠 안에 들어있는 stdio.h라는 파일이다. 이 파일을 왜 포함해야 하며 포함한다는 말의 의미는 무엇일까? 컴퓨터는 굉장히 멍청하다. 내가 말해주는 것 외에는 아는것이 전혀 없다. 다시 말해서 세상에 갓 태어난 아이와 같다. 생각해보라. 이제 막 태어난 아이에게 "밥먹을까?"하면 고개 ..
프로그래밍에 대해 말하기에 앞서 컴퓨터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야 할 것 같다. 컴퓨터는 어떻게 동작할까? 기본적으로 컴퓨터가 1과 0으로 동작한다는 말을 많이 들어보았을 것이다. 1과 0을 다시 말하면 On, Off이다. 무엇이 켜지고 무엇이 꺼진다는 말인가? 모두들 알고 있다시피 답은 전기다. 전기가 컴퓨터로 흘러 들어와 일정 전압 이상이 되면 컴퓨터가 On으로 인식하고, 그 이하라면 Off로 인식한다. 컴퓨터는 바로 이 전기의 입력과 출력의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해서 모든 자료를 처리하고 표시한다. 이와 같이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는 단 두 가지 밖에 없기 때문에, 컴퓨터를 배울 때 2진수를 배워야만 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컴퓨터에서는 8진수와 16진수도 사용한다. 배우는 김에 한꺼번에 배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