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끄적끄적
- swap
- 버스시간표
- 일기처럼 보이는 뻘글
- 광주-해남
- 육아일기
- 설계도
- 일상
- 전산직
- 해남종합버스터미널
- NICU
- 티스토리챌린지
- 오블완
- 일기처럼 보이는 잡글
- 추가채용
- 해남버스터미널
- 슈퍼탱크럼블
- 천주교
- 정보보호론
- 반복문
- c언어
- 리안이
- 정보
- Lover
- 컴퓨터일반
- 오늘의토픽
- 말씀새기기
- 슈퍼탱크대작전
- 잡담만설
- 가톨릭
- Today
- Total
리안이와 함께하는 세상
고구려(B.C. 37 ~ 668) 본문
** 성질 급하고 전투적인 민족, 땅이 안좋아서 일찍부터 전쟁을 하며 성장. 전투적일 수 밖에 없는 나라 였던 듯...
자존심도 세고 거기에 맞는 능력까지 가지고 있었으나, 연개소문이 자식을 잘못키워서 자식들끼리 싸우다가 망했다는 소문이 있음. (자식 교육의 중요함)
1. 태조왕
- 고대국가, 중앙집권국가 기틀 마련, 정복사업 활발 > 정복을 통한 세력 강화
> 옥저, 동예 복속
2. 고국천왕
- 강화된 세력을 기반으로 왕권 강화, 중앙집권 실현
- 을파소를 등용하여 진대법 시행
3. 동천왕
- 위나라한테 탈탈 털려서 평양성으로 일시 천도
- 신라와 화친
4. 미천왕
- 고조선 옛 땅 회복, 낙랑군, 대방군 퇴치(한 4군중 2군)
5. 고국원왕
- 전연에 털리고, 백제 근초고왕과 싸우다 전사
6. 소수림왕(고구려의 구세주)
- 고국원왕대에서 흔들리던 나라를 정비함
> 불교 수용(372)
> 태학 설립(372)
> 율령 반포(373)
> 상당히 위급하다고 판단한듯.
- 기틀을 다지고 10년 이상 나라를 안정화 시킴
7. 광개토대왕(정복자)
- 한강 부근 진출, 광대한 영토 확장
- 400년에 신라의 왜구 토벌 > 광개토대왕릉비에 기록(신라왕을 노객이라 기록함)
- 영락 연호 사용(이제 중국이랑 싸워볼만 하지 않나!?
8. 장수왕(오래삼)
- 갑작스런 아버지의 죽음으로 이른 나이에 왕위에 올랐으나 매우 똑똑했던 것 같다.
- 혼란스러웠을 나라를 정돈하기 위해 평양 천도, 남하정책
> 개로왕 사망, 한강 이남 지역 확보 > 충북 중원 고구려비
> 행정제도 정비, 유연과 통교, 북연 왕 풍홍 거두어들임
- 경당 설치 (지방을 위한 최초의 사학)
9. 문자(명)왕
- 부여 완전 정복(494)
- 고구려 최대의 영토!
※ 이후 약해짐
10. 영양왕(후기 왕 치고는 영양가 있음)
- 한강유역 공격(but실패 with 온달)
- 살수대첩(을지문덕, 수나라 망함)
- 고구려의 역사서 신집 간행(전하지는 않음)
11. 영류왕(연개소문 등장)
- 도교전래
- 천리장성(연개소문)
12. 보장왕
- 안시성 전투
- 고구려 멸망
※ 나라가 잘되려면 왕이 오래 살아야 함. / 오래 안살더라도 정책이 추진되서 안정권에 들 시간이 필요.
'9급 공무원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기별로 종합해본 삼국시대 (0) | 2017.03.27 |
---|---|
신라(B.C. 57 - (681, 삼국시대) - 935) (0) | 2017.03.27 |
백제(B.C. 18 - 660) (1) | 2017.03.26 |
고조선과 초기국가(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 (3) | 2017.03.22 |
[한국사] 석기시대와 청동기, 철기시대의 특징 (0) | 2017.03.20 |